*사진출처: Pixabay 이처럼 대부분의 자연재해는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인간이 초래한 자연재해는 결국 모두 우리에게 돌아올 것입니다. 더 늦기 전에, 나중에 후회하기 전에 지금부터 지구를 생각하는 마음을 가져봅시다.
*사진 출처 : Pixabay
제3기 여수광양항만공사 서포터즈 신뢰의 이름 안성섭입니다. ^^ 더운 여름이 다가오는 6월… 점점 더워지는 날씨 때문에 힘들죠?왠지 모르게 시간이 지날수록 더워지는 여름 날씨… 이상한 기후 변화. 과연 이런 것들이 모두 단순한 우연일까요?오늘은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진출처: 픽사베이 영국 소재 NGO 단체인 ‘크리스챤 에이드’는 2018년 한 해 동안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한 자연재해로 최소 56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피해를 입었다고 분석했습니다.이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심각한 자연재해 TOP10의 경우 평균적으로 10억달러 이상의 피해를 입혔을 정도로 심각하다고 합니다. 또한 이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더욱 심각해져 더 극단적인 재해를 일으킬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사진출처: 픽사베이 영국 소재 NGO 단체인 ‘크리스챤 에이드’는 2018년 한 해 동안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한 자연재해로 최소 56조원에 달하는 경제적 피해를 입었다고 분석했습니다.이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심각한 자연재해 TOP10의 경우 평균적으로 10억달러 이상의 피해를 입혔을 정도로 심각하다고 합니다. 또한 이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더욱 심각해져 더 극단적인 재해를 일으킬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Pixabay에서는 기후변화란 무엇이며, 기후변화의 원인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기후변화를 ‘일정한 지역에서 장기간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로 정의하고 있습니다.수십 년 또는 그 이상 지속되는 기후 또는 변동성의 평균적 상태에 대해 통계적으로 중요한 변동을 ‘기후변화’라고 합니다.*사진 출처 : Pixabay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는 무엇이 있을까요?① 해양 온난화 바다는 해상의 공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지구가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그러나 온난화 현상으로 바다가 흡수하는 열의 양이 많아지면 해양 온난화도 함께 진행될 수밖에 없습니다.② 녹는 얼음의 온도 상승으로 만년설이 해빙되고 있습니다. 남극, 북극뿐만 아니라 알프스, 히말라야, 로키산맥 등 설산의 고지대 면적이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위성 관측 결과 지표면의 눈은 1960년대 이래 약 10% 감소했고 온도 상승이 심한 북반구에서는 봄여름 빙하가 1950년대에 비해 10~15% 감소했다고 합니다.*사진출처 : Pixabay③해면 상승해면은 얼음이 녹고 바닷물이 따뜻해지면서 팽창하여 상승합니다. 그 속도도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④ 사막화 현상 중 위도 지방 습지가 오염된 물과 뜨거워진 기후 때문에 말라 황폐화되는 현상입니다. 사막화 현상이 발생하는 면적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사진출처 : Pixabay 한국의 기후변화로 인해 어떤 피해를 입고 있을까요?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자연재해는 태풍과 호우로 매년 여름마다 반복되고 있습니다. 또한 겨울철 폭설 발생 빈도가 2000년 이후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2002년 태풍 매미로 인한 피해 규모는 8조원을 넘었고,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해 약 6조원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태풍과 호우의 강도가 강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최근 우리나라의 약 30년간의 기후변화를 측정한 통계표를 보면 연평균 기온변화율이 ‘약 0.27℃/10년’으로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연간 강수량 변화율은 55.5mm/10년이지만 강수량이 감소한 지역도 상당수 존재하여 강수 분포의 지역차가 더욱 커졌습니다.*사진 출처 : Pixabay에서는 기후변화의 원인이 무엇일까요? 기후변화는 외적으로 야기된 변화뿐만 아니라 기후시스템 요소의 변화와 요소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기후변화에 대한 원인은 크게 자연적인 원인(지구외적, 지구내적)과 인위적인 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사진 출처:Pixabay① 지구 외적 원인은 첫째, 지구 자전축의 경사 변화 지구 자전축의 경사는 21.5˚~24.5˚ 사이에서 41,000년 주기로 바뀝니다.지구의 자전 축 경사가 커지면 여름과 겨울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차이가 커지고 여름은 더 덥고, 겨울은 더욱 추워집니다.둘째, 지구의 공전 궤도 이심률의 변화, 지구 공전 궤도 이심률은 0.005~0.058사이에서 10만년 주기로 변화합니다. 이심률이 커질수록, 근일점과 원일점에서 지구와 태양 거리 차이가 커지면서 이에 따른 계절적 기후 변화가 커지는 것이 알려지고 있습니다.(※이심률은?)타원이나 포물선 등이 원으로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셋째, 지구의 세차 운동 지구의 자전축이 천구의 고정된 점을 중심으로 26,000년 주기로 팽이처럼 흔들거리며 회전하는 운동입니다. 현재 지구의 자전축은 북극성을 향하고 있지만 13,000년 후에는 황도 북극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을 바라보고 있습니다.현재 지구는 1월이 근일점에서 7월이 원일점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13,000년 후에는 7월이 근일점에서 1월이 원일점이 되므로 북반구에서 계절적 기후 변화가 더욱 커질 것이 짐작할 수 있습니다.*사진 출처:Pixabay② 지구 내적 원인은 첫째, 수권으로 기권 사이의 상호 작용 물권과 기권은 수증기의 증발, 응결 과정을 통해서 에너지를 주고받고 대기 순환 해류에 영향을 줍니다. 그리고 해류의 순환은 다시 기후 변화에 영향을 줍니다.적도 지방에 위치하는 태평양은 평소에는 무역풍이 불고 동쪽 해역 온도가 낮은 서쪽 해역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비싸지만, 엘니뇨라고 하는 이상 기상 현상이 발생하면 동쪽의 해역의 수온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서쪽 해역의 수온이 이상으로 높아질 때를 라니냐라고 합니다. 둘째, 대형 화산의 폭발 대형 화산의 폭발하면 방출되는 먼지와 이산화황 등의 물질은 대기의 성층권에 몇년간 머물다가 태양에서 들어오는 햇빛은 반사시킵니다. 그렇게 지구에 입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우주로 반사시켜서 보냄으로써 지구의 기온을 낮추게 됩니다.*사진출처: Pixabay③인위적인 인원인 온실가스로 인한 온난화 현상, 지구대기가 증가하는 온실가스가 온난화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지구 표면은 태양 복사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고 나머지는 반사시켜 우주 밖으로 배출시킵니다.그러나 일부는 이산화탄소나 메탄 등 온실가스에 흡수되어 지구온난화 현상을 가중시킵니다.지구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온실가스가 존재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이산화탄소’입니다.이산화탄소가 온실가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의 주범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산업혁명 이후 배연기관과 농업의 발달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급증하고 온난화 현상이 가속화되기도 했습니다.*사진출처: Pixabay 이처럼 대부분의 자연재해는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인간이 초래한 자연재해는 결국 모두 우리에게 돌아올 것입니다. 더 늦기 전에, 나중에 후회하기 전에 지금부터 지구를 생각하는 마음을 가져봅시다.*사진출처: Pixabay 이처럼 대부분의 자연재해는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인간이 초래한 자연재해는 결국 모두 우리에게 돌아올 것입니다. 더 늦기 전에, 나중에 후회하기 전에 지금부터 지구를 생각하는 마음을 가져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