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없이 실명, 녹내장 고위험군은?

안녕하세요. 케이피라테스입니다!우리 눈의 가장 안쪽에 있는 망막에는 시신경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시신경은 망막에 맺어진 상을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시신경 이상으로 시야가 점점 좁아지면서 실명에 이르는 질환을 녹내장이라고 합니다. 녹내장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안과 이시형 교수님께 들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안압상승이 주된 원인, 고도근시위험군 녹내장은 초·중기까지는 증상이 거의 없습니다. 두 눈에 녹내장이 한꺼번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주변부에서 서서히 시야가 좁아지기 때문입니다. 급성 녹내장은 눈이 빨갛게 충혈되어 뿌옇게 보이고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녹내장의 주요 위험인자는 안압 상승입니다. 우리 눈은 안압을 유지하기 위해 방수라는 액체를 끊임없이 생성하고 섬유기둥이라는 구조물을 통해 유출됩니다. 어떤 강한 압력으로 시신경이 눌려 서서히 손상이 되고 방수 유출에 문제가 생기면 안압이 올라가 녹내장으로 넘어갑니다.

단, 안압을 기준으로 녹내장을 진단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정상적인 안압인데 녹내장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시형 교수는 보통 정상 안압은 1020mmHg이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25mmHg 압력도 문제 없는 사람이 있고 15mmHg 압력에도 시신경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정상 안압 녹내장이라고 한다.녹내장성 시신경 손상의 원인 하나의 위험 인자는 고도 근시입니다. 정상 안구 길이는 22~24mm인데 고도 근시는 안구 길이가 29~30mm까지 길어지면서 망막 두께가 얇아지고 시신경 형태에도 변형이 생겨 녹내장성 손상에 취약해집니다. 그 외 40세 이상 연령, 녹내장 가족력, 혈액순환장애, 고혈압, 당뇨 등이 녹내장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약의 점안이 가장 효과적, 효과가 없는 경우 레이저 및 수술 고려녹내장은 방수유출 기능 저하의 원인에 의해 원발녹내장과 이차녹내장으로 나뉩니다. 원발 녹내장은 특별한 원인이 없는 녹내장입니다. 이차녹내장은 당뇨병 합병증으로 신생혈관이 늘어나는 신생혈관 녹내장과 눈 속 염증으로 방수가 되는 길이 막히는 포도막염 녹내장이 있습니다. 또 섬유주가 있는 ‘뿔’이라는 공간 개방 여부에 따라 개방각 또는 폐쇄각 녹내장으로 분류합니다. 안압이 올라가는 속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녹내장이 의심되면 먼저 안저검사, 광간섭단층촬영, 세극 등 현미경 검사 등을 통해 눈 안쪽을 살피고 시신경혈류 및 시신경유두를 관찰하여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를 측정합니다. 시야 검사를 통해 시야 결손 여부도 확인합니다.

녹내장 치료는 시신경을 보호하고 녹내장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안압을 낮추고 시신경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가장 효율적인 치료법은 안약 점안입니다.안약의 효과가 미약하거나 부작용이 있을 경우 레이저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레이저 치료는 레이저 홍채 절제술과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이 있으며 이 중 레이저 홍채 절제술은 폐쇄 뿔, 레이저 섬유주 성형술은 개방 뿔 녹내장 치료에 열립니다.레이저 치료에도 안압이 조절되지 않으면 수술이 있습니다.녹내장 수술의 종류는 크게 섬유 기둥 절제술과 방수 유출 장치 삽입술입니다.섬유 기둥 절제술은 칼로 안구 결막을 절개하고 방수가 벗어날 길을 만들어 결막이 고쳐서 물주 머니를 만드는 수술입니다방수 유출 장치 삽입술은 눈에 얇은 관을 넣어 몸통 뒤편에 물이 빠지도록 하는 수술입니다요즘은 결막을 절개하지 않고 눈 속에 들어 얇은 관을 삽입하는 최소 침습 녹내장 수술도 많이 가고 있습니다.

◇ 고위험군 안과검진 필수 ‘유산소운동이 안압 낮춰서’ 녹내장으로 한번 시력이 나빠지면 치료해도 회복되지 않습니다. 이미 손상된 시신경을 회복시킬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당뇨병이나 고혈압처럼 꾸준히 관리해서 시력이 더 나빠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기에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시력 예후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이시형 교수는 “녹내장 진단을 받거나 위험요인이 있는 사람이라면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며 “평소 항산화 효과가 있는 채소·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좋고 금연과 절주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 “안압을 낮추는 유산소 운동을 중점적으로 하면서 무거운 물체를 들거나 물구나무서는 것은 안압을 높일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습니다.출처 : 헬스조선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