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임신고혈압, 풍진, 매독) 모성간호-고위험임신

임신 고혈압 임신성 고혈압: 20주 이후 고혈압만 발생, 부종과 단백뇨 없음 ★ 자가간질(임신중독증): 20주 이후 고혈압, 부종, 단백뇨자간질: 고혈압, 부종, 단백뇨에 경련을 동반함(임신 말기에 가장 많이 발생)

치료 및 간호(국시)-임신성 고혈압 파악을 위해 ★산전 관리 시 매번 혈압, 체중, 소변검사를 실시한다.★고단백식, 고비타민, 적절한 탄수화물, 저지방, 저염식이, 부종이 심한 경우 수분제한식을 섭취한다.★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에서 절대 안정되며 경련이 심할 경우 처방받은 진정제를 투여한다.★ 경련시: 기도 확보 후 산소 공급, ’21/3 국시 흡인 방지를 위해 머리 옆으로 되돌리기, 좌측 상단, 측위(자궁태반 혈류 증진을 위해) 신체 손상 방지, 억제대 사용 금지

  • 자가 간질로 자가 간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 방문이 필요한 증상: 혈압 상승, 심한 두통, 지속적인 구토, 상복부 통증, 얼굴과 손가락 부종, 흐린 시야, 소변량 감소 등

인슐린의 상대적 결핍과 부재로 임신 중 발생하고 분만 후 정상으로 돌아오는 당뇨병

모성에 미치는 영향 – 비뇨기계 감염, 모니리아 감염, 임신 고혈압 발생 증가, 양수 과다, 산후 출혈 가능성 증가 태아, 신생아 영향 – 거대아, 출산 후 30~60분 저혈당 신생아

치료 및 간호-식이요법의 가장 중요, 운동요법, 임산부에게 인슐린 주사요법(경구용 혈당강하제 금지)

심장질환 태반순환 감소로 저체중아와 조산아의 출산 위험이 증가한다.휴식이나 분만 시에는 좌측 상단의 유지변비 예방을 위해 고섬유식이 저염식이

빈혈 임신 중 가장 일반적인 빈혈은 철분 결핍성 빈혈로 임신 전에 비해 혈액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주 발생한다.임신 말기에는 더 많은 철분이 요구된다.Hb <11g/dL, Hct <35%

치료 및 간호-철분 결핍성 빈혈의 경우 철분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경구용 철분제를 복용시킨다.

풍진풍진바이러스로인해호흡기비말감염태아는태반을통해감염

임산부-경한질환의 태아 및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임신 3개월 이내 감염 시 태아 성장발달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고 심장질환, 백내장, 청각장애, 소두증, 지능장애, 간과 비장의 비대 등 기타 유산, 조산초래 임신 초기(임신 12주 이내)에 풍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치료 및 간호-임신 전 풍진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예방접종 후 2개월 이내 임신금지, 엽산섭취 임신 초기 감염 시 치료적 유산 고려

매독 ’21/9 국시감염 경로: 성접촉, 태반을 통한 수직감염(16~20주 이후) 원인균: 트리폰네마파리지움균 태아에게 선천성 매독아 출산(허친슨치아, 안장코, 스누플스, 가성마비), 초기 치료하지 않으면 유산, 사산, 태아 사망률 증가

치료 및 간호-임신 초기 혈청검사인 VDRL, 버서맨 검사-매독균은 16~20주 사이에 이동하므로 진단 즉시 최대한 빨리 페니실린 치료(태아 감염 예방을 위해)하고 성 파트너와 함께 치료

임질 감염 경로: 성 접촉, 태아산도를 통해 감염 원인균: 임균 모체는 페니실린 치료한다.신생아는 임균성 안염을 예방하기 위해 눈에 1% 질산은 용액이나 엘리스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연고를 점안한다.

국시문제 풀이법■2021년 3월 국시자간부전증 진단을 받은 임신부가 경련을 하고 있을 때 돕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41) 수분 보충을 위해 물을 먹인다.2)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억제대를 해준다.3) 침대 난간에 부딪히지 않도록 침대 난간을 내린다.4) 흡인 방지를 위해 머리를 옆으로 돌리다.5)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검사를 시행하며, 경련 시 간호기도 확보한 후 산소공급 흡인 방지를 위해 머리 옆으로 돌려준다.좌측상단, 측위(자궁태반관류증진을 위해) 신체손상방지, 억제대 사용금지

매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1) 제3급 감염증에 해당한다. →제4급 감염병 2) 신생아 임균안염을 유발한다. →임질3) 가임여성은 예방접종이 필요하다. →풍진은 임신 전 예방접종 실시4) 원인균은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다. →원인균은 트리포네마파리지움5) 모체의 태반을 통해 수직감염이 될 수 있다.매독원인균 : 트리포네마파리지움 16~20주 이후 태반을 통해 수직감염 임신 초기 혈청검사 VDRL 진단 후 최대한 빨리 페니실린 치료(태아감염 예방을 위한) 성 파트너와 함께 치료

■1720년 국시VDRL 검사 후 양성일 때 진단할 수 있는 질병으로 올바른 것은?(21) 임질2) 매독3) 클라미디아4)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5) 자궁경부암 매독검사 : 임신 초기 혈청검사VDRL

임신중독증 진단검사에서 옳은 것은? (41) 체온, 맥박, 혈당2) 체온, 맥박, 혈압3) 체온, 혈압, 호흡4) 체중, 혈압, 소변검사5) 체중, 혈당, 심전도검사

임신 고혈압 환자 간호에서 옳은 것은? 실내에서 운동을 하다. →절대 안정 2) 고단백질을 준다.3) 수분 섭취를 최대한 권장한다. → 부종 시 수분 섭취 제한 4) 병실을 밝게 한다. →경련 예방을 위해 병실 조용하고 어둡게 5) 고칼로리 섭취를 권장한다.

임신 고혈압 환자간호(임신중독증간호) 산전관리시 매번 혈압, 체중, 소변검사 실시 고단백식, 저지방, 저염식, 수분제한식(부종시)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에서 절대안정경련시 : 기도확보 후 산소공급흡인 방지를 위해 머리 옆으로 돌려준다.좌측상단, 측위(자궁태반관류증진을 위해) 신체손상방지, 억제대 사용금지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