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나의 스트레스 지수는 지난 몇년의 상한을 갱신했다. 거절할 수 없는 성격 때문에 남의 일을 돕게 됐지만 이는 사람들에게 연락해 결과를 받아내는 것이기 때문에 카카오톡이 끊이지 않는다. 왜 맡았는지… 후회되는 걸 수십 번 그러나 이제는 돌이킬 수 없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야 한다. 그래서 포스팅할 시간이 없었어 이렇게 몰두해 있으면 사실 영화도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이럴 때는 짧은 시간에 짜릿한 전율로 스트레스를 풀어야 한다. 그래서 오늘 넷플릭스의 <노탈리아스>를 플레이했다. UFC 격투기 선수 코너 맥그리거의 전기 다큐멘터리였다.

UFC에 대해서는 항상 양가감정이 병존한다. 마음이 한없이 평화롭고 진지할 땐 어쩌면 저렇게 잔인한 격투기를 하는 걸까. 비인간적이다 잔인하다상업적인 것도 한도가 있다. 피투성이가 된 그 경기에 환호할 사람은 또 뭐가 있겠지. 하지만 UFC는 엄연한 스포츠다. 인간에게는 싸움에 대한 본능이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그리고 한 사람이 녹아웃될 때까지 질주하는 이 역동성은 어떤 스포츠에도 다가갈 수 없다. 과거 복싱 중계 전 국민이 앉았던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어쩌면 오랜 시간 지속적인 펀치로 뇌에 가하는 충격보다는 짧은 격투기가 더 위험성이 낮다고도 한다. 어쨌든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은 UFC의 빅게임을 찾아다니며 자신 속의 에너지를 뿜어내는 것이다.

그런데 코너 맥그리거의 영화를 보니 격투기에 대한 생각이 좀 바뀌었다. 격투기에도 서사가 있었다. 무조건 싸우는 게 아니라 충분한 훈련과 기술을 동원한 타격이다. 그리고 한 선수의 피나는 노력을 보니 격투기 자체가 하나의 위대한 도전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링 밖에서의 삶은 우리와 다를 바 없는 단란한 가장의 삶이었다. 그리고 그의 꿈은 일류 선수가 되어 가족을 훌륭히 부양하는 것이었다. 어쨌든 그의 엄청난 도전과 승리, 패배, 재도전의 과정을 지켜보니 어느새 1단계의 스트레스가 휘발되었다.

2단계는 지나친 몰입에서 벗어난 나에게 에너지 드링크 같은 음악으로 힘을 불어넣는 것이다. 이때 가장 좋은 음악은 역시 헤비메탈, 하드록이다. 이런 장르도 평소 조용한 생활에서는 굳이 들을 만한 게 아니다. 힘들 때 듣는 노동요 같은 것이다. 그래서 몇 곡을 찾았어
첫 번째 곡은 레드제플린의 ‘D’yer Maker’. 실제로 녹말 조금 사라진다.
하지만 좀 더 강한 자극이 필요할 때 떠오르는 OST는 Matrix다. 그 중 여러분도 잘 아는 음악에서.. https://youtu.be/iCBL33NKvPA 네오와 트리니티가 건물에 진입하는 그 멋진 장면은 영화사상 100대 명장면으로 꼽힌다.
또 다른 곡 Rage Against The Machine의 Wake Up(The Matrix)은 온몸을 마사지해 준다.https://youtu.be/ieqUM667j8M
근데 항상 이 곡 들으면 생각나는 영상 있어
IMF 직후인가 실의에 빠진 국민에게 잠깐의 근심을 잊게 해 준 방송 사고의 영상이 있었으므로, 말하자면 ‘나라 경제를 이야기하는데 파리가…’아마, 과거 최고의 방송사고가 아닐까. 언제 봐도 웃음을 참을 수 없는 영상이다.이걸 보고 또 눈물이 나도록 웃는다. 그래 스트레스 해소의 최고봉은 단연 웃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