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갑자기 목이 붓고 통증이 심해지고 발열 등이 동반되면 급성 편도염이 원인일지도 모릅니다. 편도란 코나 입으로 들어오는 병원균 등에 대해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개편도, 눈편도, 인두편도 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보통 편도라고 하면 구개편도를 말하는데, 구개편도는 목 안쪽 부분인 목젖 양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양쪽 편도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급성 편도염이 발생합니다. 조금 피곤하면 목이 붓기 쉽고 통증이 심해질 수 있지만 편도에 염증이 생겨 부어오르기 때문입니다.편도염의 원인/증상 급성 편도염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몸의 저항력, 면역력이 떨어져 있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우리 몸이 세균, 바이러스에 견딜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급성 편도선염은 영유아, 청소년, 청년층 등 비교적 젊은 연령층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아이들의 경우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인 경우가 많고(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이외에도 각종 세균(베타용혈성 연쇄구균, 폐렴구균 등)도 염증을 일으킵니다.

편도염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 날씨(심한 온도 변화), 과로나 피로 누적, 영양 불균형, 스트레스, 상기도 감염 이후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일부 약물 복용 등이 있습니다. 건강을 해치고 저항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편도염의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예방을 위해서는 우선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세균,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특히 급성 편도염은 환절기에 발생하기 쉬우므로 특히 컨디션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증상인 편도선이 부어오르고 전신적으로 고열이 동반되며 오한, 근육통, 두통, 전신적인 쇠약감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목 속이 심하게 부어오르기 때문에 입안을 관찰해 보면 편도 주위가 붉게 충혈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인후통이 심하기 때문에 침을 삼킬 때에도 통증이 느껴지죠. 무언가를 삼키기 어렵고 음식 섭취에도 영향을 줍니다.
편도 염증으로 인해 목의 림프절이 커져서 붓기도 합니다만. 턱 아래, 목 부위에 덩어리가 만져지고 누르면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4~6일 정도 지속되다가 점차 조금씩 회복됩니다.편도염 치료 급성구개편도염 치료를 위해서는 편도의 염증을 완화하고 인후통을 완화하는 약물을 복용해 휴식을 취하면 좋겠는데요. 주로 소염진통제, 항생제, 가글 등을 사용합니다.
항생제 항생제는 세균 감염증을 치료해 주는 약물입니다. 세균 감염이 의심되는 구개편도염에 사용합니다.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보여도 2차 세균 감염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지요. 항생제는 전문의약품이기 때문에 처방이 없으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항생제를 처방받은 경우 증상이 나은 것처럼 보여도 처방받은 날짜까지는 약을 끝까지 복용해야 합니다.

소염진통제 구개편도염으로 인한 인후통, 발열, 오한증상 등을 전반적으로 완화시키는 약입니다. 편도선이 심하게 부으면 열이 나고 전신에 염증 인자가 퍼져 몸 상태가 나빠지기도 하는데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먹으면 소염, 진통, 해열작용을 나타냅니다.
소염진통제도 처방받아 복용할 수 있습니다. 이부프로펜, 나플록센, 덱시브프로펜 등의 성분은 처방 없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글약/트로키제/인후 스프레이 거글제나 구강 스프레이, 트로키제 등은 편도에 직접 작용하여 통증이나 염증 등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단, 이 약들은 전신에 걸쳐 나타나는 효과는 없기 때문에 발열을 동반할 때 열을 내리는 효과는 없습니다.
베타딘 목 스프레이는 살균 효과가 있어 편도 바이러스와 세균 등을 억제해 주는 제품입니다. 헥사메징거글도 살균, 소독작용을 합니다.

한편, 탄툼 가글, 탄텀 스프레이(탄텀베르데)는 소염진통제 작용을 합니다. 살균 효과는 없지만, 국소적으로 작용하여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군요.
사탕처럼 녹여 먹는 트로키 제제도 있습니다.(예-스트렙실 등) 소염진통제 성분 트로키 제제는 먹는 소염진통제와 병용하지 않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