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이 안 된다고? 갑상선 기능 저하증 때문에

임은 생식기관의 문제가 원인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갑상샘장애 기능저하증, 항진증 등 의외의 기저질환이 불임의원이 되기도 했습니다. 불임으로 인해 병원을 방문하여 갑상선 장애로 진단받는 경우도 적지 않았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한 여성 생리의 불순, 조산, 유산의 위험↑

현대사회에서는 임신이 뜻대로 되지 않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낙태가 합법적으로 개정돼 원치 않는 임신으로 아이를 낙태시키려는 사람도 있었지만 그토록 원하던 아이가 생기지 않아 가슴 졸이는 부부도 많았습니다.

갑상선 장애가 있는 여성은 임신이 어렵고, 조산, 사산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했습니다. 태아는 성장 부진, 신경관 결손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남성의 갑상선 장애는 남성 호르몬 수치 이상이나 발기부전, 성욕, 정자 수 감소 등을 초래하여 불임 위험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갑상선이란 목의 앞쪽 중간 부분에 있는 나비 모양의 기관으로 크기는 대략 4~5cm 정도였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확인해 보면 지난해 갑상샘 장애로 건강보험 진료를 받은 사람은 약 145만 명이라고 한다. 그 중 초산 가능성이 있는 20대 30대 여성은 약 32만 명으로 22%를 차지했습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자가면역성 만성갑상선염 <하시모토병> 수술이나 방사성 요오드 치료 등에 의해 갑상선 호르몬이 잘 분비되지 않아 대사속도가 늦고, 심장이나 위장 등이 천천히 움직여 땀이 나지 않고, 추위를 타고, 얼굴과 손발이 붓고, 피로감이나 변비, 체중 증가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이와 함께 여성에게는 무월경, 생리불순, 생리량 증가 증상이 나타나고 남성에게는 정자의 수와 정액 질의 저하를 유발해 불임으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치료하지 않거나 진단이 늦어지면 심장질환 또는 의식불명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었습니다.산모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태아의 뇌신경 발달을 저해하고 조산 또는 저체중, 유산의 위험성도 높인다고 하였습니다. 태아의 갑상선은 임신 12-13 주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그 이전에는 모체로부터 갑상선 호르몬을 공급받고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갑상선을 자극하는 항체가 갑상선에 달라붙어 필요 이상으로 호르몬을 만드는 자가면역질환 때문에 발생했습니다.

양우를 에니지로 바꾸기 위해 열이 발생해 땀을 많이 흘리거나 피로를 느끼게 되어, 식욕이 왕성해도 오히려 체중은 줄어들 수 있었습니다. 자율 신경이 흥분하여 심장이 빨리 두근거리고, 위장의 운동 속도가 빨라져 변이 나오거나 변이 나오거나 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신경이 몹시 예민해져 짜증이 증가하여 배우자를 괴롭힐 수도 있었습니다.

또한 조금 긴장한 것만으로도 손발이 떨리거나 눈이 튀어나오거나 눈꺼풀이 붓거나 결막에 충혈될 수도 있었습니다. 여성의 경우 생리가 불규칙해지고 양이 줄어들어 성욕 감퇴 등으로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었습니다. 만약 산모라면 합병증으로 심부전 등이 유발되어 태아는 자궁 내 발육 부전, 조산, 사산 등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갑상선 호르몬제를 2, 3개월 이상 먹으면 증상이 좋아지고 기능이 회복되는 경우도 있었는데요. 하지만 증상이 좋아졌다고 해서 임의로 약을 중단하면 심장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의적인 중단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수술로 제거한 경우에는 평생 복용해야 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