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만 진행해보시면 어려운 부분도 없고 꽤 쉽게 느껴지실거에요. 출력하는 시기에 따라 과세기간이 헷갈릴 수 있지만 요청기관에 필요한 연도를 물어보면 되므로 소득금액증명서를 쉽게 발급받아 보시기 바랍니다.
부동산을 거래할 때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서류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 중에서 자주 요구되는 것이 소득금액증명서 발급입니다. 이름만 들으면 왠지 복잡하고 어디서 받아야 하는지도 헷갈리는데 의외로 빠르고 쉽고 어렵지 않게 발급받을 수 있어요.해당 서류는 직장인의 경우 연말정산을 완료했거나 종합소비세 신고를 마친 개인사업자라면 소득금액을 증빙할 수 있도록 국세청이 발급하고 있습니다.

간혹 팩스로 해당 서류를 요청하면 스마트폰 앱 중 손택스를 통해 발급되기도 합니다. 모바일에 직접 앱을 설치하고 공동인증서도 모두 준비해야 하는 점 참고해주세요.
신청하기 누르시면 바로 다음 화면이 나오고 접수 목록과 함께 내역이 한 줄 나옵니다. 그럼 발급번호 부분을 클릭하면 내역과 출력할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웨일이나 크롬을 이용하면 프린트를 pdf 저장할 수도 있기 때문에, 파일로 하는 경우는 참고해 주세요.

소득금액증명서를 발급받으면 인적사항, 법인명, 사업자등록번호가 기재되어 있고 경제활동을 통해 얻은 소득금액, 결정세액 등이 적혀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소득능력을 검증할 수 있으며, 특히 금융기관이 요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득금액증명서 발급, 빠르고 쉬운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홈택스, 정부24를 이용하면 되는데요. 둘 다 이용해본 결과 홈택스가 더 빠르고 편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그 다음 민원증명 메뉴 → 민원증명 발급 신청 → 소득금액증명을 선택하고 바로 신청 내용과 함께 기본 인적사항 등을 기입하는 란이 나옵니다.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하셔서 로그인을 먼저 하셔야 합니다. 증명서가 꼭 필요한 사항이니 위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서 진행해주세요.

소득금액증명서 발급은 다양하게 가능합니다. 직접 동사무소나 세무서에 가서 신청할 수 있으며 무인발급기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그때 필요한 건 신분증이고 따로 수수료는 없고 쉽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직접 시간을 내서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피하는 편입니다.
순서대로 기입하면서 발급 유형은 한글, 증명 구분은 직장인의 경우 근로소득자용, 개인사업자 종합소득세 신고자용 등으로 체크하면 됩니다.

과세기간의 경우 위와 같은 설명에 따르면 현재 2022년 상반기에는 2020년 기록을 출력할 수 있는 점을 참고하여 해당 서류를 요청한 곳에 몇 년도분이 필요한지 물어보면 더 정확합니다. 사용용도나 제출처도 적절하게 선택하시면 되고 혼란스러우면 기타로 체크하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