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를 지어본 적이 있나요?비염이나 축농증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코가 막혀 농양을 구분하는 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비인후과나 한의원에 가서 코를 뻥 뚫어봤으면 하는 마음이 강하겠죠.당연히 농양은 일시적으로 코가 개운해집니다.
근데 1시간 정도 지나면 어때요?코가 또 막히는 걸 경험할 수 있어요.
이것은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음을 보여줍니다.

비염 증상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비염은 비강을 덮고 있는 점막의 염증 질환입니다.염증으로 인해 코막힘, 콧물, 기침 등이 발생합니다.
비염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급성비염/만성비염/위축성비염
[1] 급성 급성 비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입니다.추운 날씨, 낮은 습도, 영양 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면역 기능의 변화로 급성 비염이 발생합니다.
환절기 겨울철에 감기에 많이 걸리는 이유는 실내에 오래 머무는 시간은 늘어나지만 공기가 환기되지 않아 많은 사람이 좁은 공간에 함께 모여 바이러스가 전파되기 때문입니다.
급성 비염은 약 1~3일 후에 두통, 재채기, 콧물과 같은 증상을 보이며, 2차 세균 감염이 일어나면 노란 콧물이 나오고 코막힘이 심해집니다.
이때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중이염, 편도염, 인후염 등의 감염이 동반됩니다.
[2] 만성 만성 비염은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감염성 비염의 경우 급성 비염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아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비강염(축농증)이나 편도선염에 걸려 비염이 오래 지속되더라도 발생합니다.
만성 비염의 가장 큰 증상은 콧물로 코막힘, 재채기 등이 심해집니다.
코막힘이 심해 양쪽 코가 막히면 입으로 호흡하는 구강호흡이 나타나고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는 후 코눈물 증상도 나타납니다.
[3] 위축성 비염 중 가장 치료가 어려운 위축성 비염입니다.
콧속이 건조해지고 살이 빠지는 병입니다.증상으로는 코막힘, 코 건조, 코가 답답함 등이 있습니다.
환자가 스스로 자각하기 어렵기 때문에 콧속의 구조를 확인하지 않으면 확진을 할 수 없습니다.
위축성 비염은 양쪽 코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데 그 원인이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만성비염, 세균감염, 면역력 감소가 주요 원인이지만 여러 요인이 겹쳐 발생한다고 판단합니다.
축농증 증상 비염을 제대로 치료하지 못해 오래되면 축농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축농증은 비강과 연결된 ‘부비강’이 막혀 세균에 의해 노란 고름이 생겨 쌓이는 것입니다.
축농증에 걸리면 코가 막혀 코로 호흡이 어려워지고 고름이 목으로 넘어가 기침이 나기도 합니다.
또한 노란 농도로 인해 구강 호흡이 심화되고 이로 인해 입냄새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축농증은 급성 축농증과 만성 축농증으로 구분합니다.
[1] 급성축농증(부비강염) 급성축농증의 주요 원인은 감기에 걸린 상태에서 2차 세균감염에 의한 발생입니다.
발열, 권태감 등이 생기고 증상이 심해지면 얼굴, 눈 주위에 압통과 두통이 옵니다.
급성축농증(부비강염)은 초기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감기에 걸린 지 5일 정도 지나도 증상이 그대로이거나 더 심해지면 급성 축농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만약 느린 치료는 만성 축농증으로 이어지므로 가능한 한 빨리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만성축농증(부비강염) 만성축농증은 급성축농증이 지속될 경우 발생합니다.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복합적인 원인으로 만성 축농증이 발생합니다.
알레르기, 천식, 면역 부전이 병발하면 치료가 어려워집니다.
증상도 매우 다양하며 특히 코막힘, 노란 콧물이 심하고 가래가 목구멍으로 넘어가 압통과 두통이 심해집니다.
만성축농증은 초기에 제대로 관리를 하지 못하면 난치성 질환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농양이 의미 없는 이비염이나 축농증이 되면 코막힘이 심해집니다.콧물이나 농양을 찾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농양은 본질적인 해결 방법이 아닙니다.콧속에 있는 세균에 대항하여 체내의 백혈구가 이기지 않으면 완치할 수 없게 됩니다.
겨울이나 환절기에는 콧속 온도가 내려가 백혈구의 활동성이 저하됩니다.
아무리 농양을 해도 낫지 않는 이유는 낮은 온도에서 백혈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콧속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콧속 점막을 직접 자극하면 오히려 건조해지고 세균이 더 활발하게 활동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가장 추천하는 방법은 ‘온찜질’을 통해 비강과 부비강의 온도를 천천히 올리는 방법입니다.
백혈구의 활동성을 높여야 약을 먹어도 더 효과를 볼 수 있는 거죠.
체온 1도 올라가면 면역력 5배 상승 밑에는 비염이나 축농증에 도움이 되는 축농증 전용 찜질팩을 소개해 두었습니다.
비염과 축농증의 근본적인 치료, 온찜질
꼭 활용하셔서 비염과 축농증에서 빨리 벗어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오백남] 프리미엄 아이템 500가지를 소개하는 남자 bit.ly